<조명기의 종류>
모든 램프(광원)는 빛을 만들려는 종류에 따라서 각기 다른 형태의 외형을 갖는다. 즉, 만들어내려는 빛이 직광의 성격을 가질 것인지, 분산광의 성격을 가질 것인지에 따라 램프를 감싸고 빛을 만들어내기 위한 내 · 외부의 형태가 달라진다.
1. 직광용 조명기
직광용 조명기(spotlight)는 빛의 강한 직진성을 유지하고, 방향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조명기는 대부분 조명기기에 포커스 조절장치가 장착되어 빛을 한 방향으로 모으든가, 넓은 범위를 조명하든가 하는 것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명기기의 앞에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라는 조명용 렌즈를 부착하여 빛을 더욱 효율적으로 모을 수 있도록 한 것도 있다. 프레넬 렌즈를 장착한 조명기기는 빛을 한 군데로 모아서 비교적 먼 거리까지 빛의 분산 없이 조명할 수 있다. 프레넬 렌즈가 부착되지 않은 스포트라이트 조명기기는 프레넬 스포트라이트와 구분하여 오픈 스포트라이트(open spotlight)라고 부른다. 이런 종류의 라이트는 프레넬 스포트라이트에 비해 빛의 방향조절과 빛을 모으는 성능에서는 뒤지지만 두텁고 무거운 렌즈가 없기 때문에 가볍고 가격도 저렴하여 세트 촬영이나 소규모 촬영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2. 분광용 조명기
분광용 조명기(floodlight)는 모두 포커스의 조절이 불가능하며, 스포트라이트의 빛보다 훨씬 분산된 상태의 광선을 만들어낸다. 분광용 조명기에는 움푹한 그릇 모양의 스쿠프(scoop)와 파(par), 사각형의 조명기기 안에 막대모양의 램프를 장착한 형태인 브로드(broad)가 있다. 분광용 조명기기는 주로 키라이트에 의해 만들어진 그림자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필라이트나 넓은 면적에 걸쳐 고른 강도의 조명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3. 소프트라이트 조명기
소프트라이트(softlight)는 광선을 좀더 부드럽게 만들어 그림자가 거의 없는 듯한 광선을 방출하는 조명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소프트라이트를 만드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스포트라이트나 플러드라이트의 전면에 빛을 분산시키는 여러 종류의 분산물질 (소프트라이트 필터, 트레이싱페이퍼, 실크 천 등)을 붙여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을 분산시키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알루미늄과 같은 반사물질을 조명기기의 안쪽에 장착시킨 넓은 직사각형의 조명기기에 램프를 거꾸로 장착하여, 광원에서 방출된 빛이 바로 피사체를 향하는 것이 아니라 조명기의 내부에서 한번 반사된 분산광이 피사체를 조명하는 형태의 조명기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사진 스튜디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우산형 조명기기는 이러한 소프트라이트를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조명기기이다. 이 외에 소프트라이트를 만드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스포트라이트와 함께 우드락이나 스티로폼, 흰색 도화지 등의 반사판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스포트라이트를 피사체에 직접 조명하지 않고 반사판에 비춘 뒤 반사판에서 반사되어 나온 부드러운 빛을 이용해 피사체를 조명하는 방법으로 매우 부드러운 확산을 만든다.
조명 보조기구
실제적으로 조명을 하기 위해서는 광원 자체뿐 아니라, 다양한 조명 보조기구(lighting accessory)를 이용하여 상황에 따라 광선의 상태, 성질, 광량 등을 조절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조명 보조기구들은 크게 광선의 성질을 바꾸는 것과 빛을 차단하거나 그림자의 성질을 바꾸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워낙 그 종류가 많으므로 여기에서는 활용도가 높은 것만을 다루기로 한다.
1. 광선의 성질을 바꾸는 보조기구
(1) 스크림
스크림(scrim)은 색온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광선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기본장비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의 앞에 달려 있는 홈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와 별도의 사각 형태의 프레임으로 만들어진 것이 있으며, 조명의 강도를 스크림의 촘촘한 형태에 따라 single, double, triple로 나누어 각각 1 스톱 스톱, 3스톱 분량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명기기의 강한 열에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등으로 만들어진 원형의 금속 스크린 형태이다. 이중 스크림은 일반 스크림의 2배에 해당하는 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철망이 원의 반쪽 부분에만 장치된 하프 스크림 (half serim)은 피사체를 비추는 광선의 반쪽 부분만 광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있다.
(2) 네트
네트(net)는 스크림과 같은 용도로 쓰이나 스크림이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과 달리 천을 이용하여 만든다. 네트는 검정색의 모기장 같은 얇고 미세한 그물을 프레임에 장치한 형태인데 줄이고자 하는 광선의 강약에 따라 이를 겹쳐 사용하거나, 좀더 조밀하게 만들어진 여러 종류의 네트를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버터플라이와 오버헤드
버터플라이 (butterfly)는 태양광과 같이 피사체에 떨어지는 강한 직광을 분광시켜 좀더 부드러운 광선으로 만들어주기 위해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4×4피트, 4×6피트 이상의 조립식 철제 프레임에 네트를 장착하여 사용하는데, 필요에 따라 실크 천과 같은 반투명 물질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별도로 실크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인 버터플라이의 크기보다 더 큰 형태의 것들을 오버헤드 (over head) 라고 부른다. 12×12피트, 또는 20×20피트의 형태가 주로 사용되고, 필요에 따라 더 큰 형태로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크기의 오버헤드는 세트 촬영시에 여러 명의 사람들이 차지하는 공간에 닿는 빛을 분산시키거나 차단시키기 위해서 사용한다. 또한 자동차와 같은 대형 소품을 촬영하기 위해서도 자주 사용되는데, 이보다 더 큰 대형 오버헤드는 크레인 등에 장착하여 매우 넓은 범위에 닿는 빛의 성질을 바꾸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4) 기타 보조기구
강한 직진성을 갖는 광원의 빛을 분산광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불투명 재질을 가진 보조기구들이 사용된다. 이들은 실크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데, 다양한 재질의 천들과 비닐류를 사용하여 빛이 분산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댓글